Skip to content

1주차 멘토링 일지

Wonjun Han edited this page Nov 22, 2023 · 2 revisions

✔️ 아젠다 및 질문

  • 프로젝트 주제 : 방송 플랫폼

GitHub - boostcampwm2023/web07-GBS

공통 질문

  • 현재 backlog 문서를 쓰고 있는데, 다들 처음 써보는거여서 이렇게 쓰는것이 맞는지 궁금합니다! 또한 전체적으로 더 보완할 부분이 있는지도 궁금합니다! GBS Backlog

BE

  • 스트리밍 데이터를 받는 서버/스트리밍 데이터를 넘겨주는 서버 2개로 나눌 것 같은데 데이터를 어떤 방식으로 공유해야 할지 확신이 서지 않습니다.
    • 나누는 이유: 부하에 따라 다르게 서버를 수평 확장하기 위해
    • 방법 1. RTMP 프로토콜을 사용해 바로 전달
      • 이렇게 하면 서버를 나누는게 의미가 있는건가 싶네요.
    • 방법 2. 공통으로 사용하는 데이터베이스에 저장
      • 저장한다면 HLS 프로토콜을 위해 m3u8 확장자로 저장하게 되는데 AWS S3와 같은 Storage 서버에 저장하는게 맞을 것 같습니다.
    • ⇒ HLS 응답 서버는 없이 진행해보고 처리해줘야 하는 부분이 생기면 서버를 따로 사용한다.
  • 동시 접속자 수는 몇명으로 정의를 할 것인가? 시간이 실질적으로 4주 밖에 남지 않은 점을 고려했을 때 몇 최대 몇명을 동시에 처리하도록 해야하는가? 동시 접속자 처리량에 따라서 설계, 구현이 달라지는데 현재 저희 프로젝트에서 몇명으로 정의하고 진행해야할까요?
    • ⇒ A: 실 서비스를 하는 것이 아니니까 데모할 때 부캠 인원정도로 잡으면 좋을 것 같다.
  • 서버 선택
    • https://www.ncloud.com/product/compute/server
    • API 서버(유저정보 관리 등) 는 S2-g2로 가장 싼거로 결정했습니다. 아래의 서버들은 어떤 서버를 사용해야 할지 고민입니다.
    • 스트리밍 수신 서버
    • 인코딩 서버
    • hls 응답서버
    • ⇒ A: 실 서비스를 하는 것이 아니니까 최대한 저렴한 서버를 선택하는 것이 좋을 것 같다.

✔️ 멘토링 내용

  • 되도록 공유가 잘 되도록 github 사용하기
  • slack에서 태그해서 질문하는게 좋을 듯 함
    • wiki에 주기적으로 업데이트 중
  • notion, wiki - 메모장 내용 Q: 둘다 내용을 정리하는 것인데 이원화가 필요한지 의문 A:
    • notion : 회의를 할 때 있는 그대로 적음 - private
    • wiki : 다른 사람들이 읽기 편하게 정리해서 올림 (공유용) - public
  • 서버 선택의 경우 되도록 싼걸로 사용 후 스케일 업이나 스케일 아웃 해서 사용하기.
  • 디자인 관련해서는 이미 만들어져있는 여러 라이브러리의 디자인을 활용하는 것도 좋은 방법일듯.

백로그

  • 중요도를 판단할때
    • 1순위 : 죽어도 이거는 만들어야한다.
    • 2순위 : 기한안에 만들어지면 좋다.
    • 3순위 : 혹시 시간이 남으면 만들면 좋을 기능
  • 작업완료의 기준 정하기
    • 기능 구현
    • 예외 처리 완료
    • 테스트 완료
    • 배포 완료
  • 작성한 백로그를 바탕으로 러프하게 일정을 정해보면 좋을 것 같음

✔️ 체크리스트

  • 기술적 도전 과제 수립이 되었다.
  • 현실성 있는 계획 수립이 되었다.
  • 프로젝트 기획과 설계의 뼈대가 나왔다.
Clone this wiki local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