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Notifications
You must be signed in to change notification settings - Fork 1
Installation Guide (Korean)
vagrant는 포터블 가상화 소프트웨어 개발 환경의 생성 및 유지보수를 위한 오픈 소스 소프트웨어 제품의 하나입니다. 큐브리드를 처음 접하는 개발자가 빌드해볼 때 여러가지 다른 라이브러리가 이미 설치되어 있는 환경보다 OS만 설치된 상태에서 필요한 모든 라이브러리를 설치하는 Vagrantfile 스크립트를 참고하면 쉽게 설치 환경을 이해 할 수 있습니다.
이 환경에서 설치하는 라이브러리는 크게 다음과 같습니다.
- 개발 환경 구축에 도움을 주는 유틸리티 e.g.) wget, git...
- 개발 환경을 위한 유틸리티 e.g.) vim, git, gdb, gdb-gdbserver, ctags, astyle...
- 빌드 환경을 위한 라이브러리 e.g.) cmake, gcc, g++, jdk ...
https://www.vagrantup.com/downloads.html에서 Windows, Linux, MacOS 환경에 상관없이 쉽게 설치파일을 이용해서 설치 할 수 있습니다.
git clone https://github.com/hgryoo/cubrid-vagrant-dev cub_env
cd cub_env
git이 설치되어 있다면 위와 같이 입력하여 환경 구성을 위한 스크립트를 쉽게 가져올 수 있습니다. git이 설치되어 있지 않더라도 https://github.com/hgryoo/cubrid-vagrant-dev에서 소스를 직접 다운받을 수 있습니다.
사용 방법은 간단합니다. Vagrantfile이 있는 해당 환경의 폴더에서 다음을 입력하면 됩니다.
// centos라면 $cd centos7 입력
// ubuntu라면 $cd ubuntu-xenial 입력
vagrant up
콘솔 화면에서 모든 설치 과정을 볼 수 있고, 설치 과정이 완료되면 다음을 입력하면 ssh로 접속이 가능합니다.
vagrant ssh
또한 Vagrantfile 내의 config.vm.network "private_network" 속성의 ip를 이용해서 putty와 같은 ssh 접속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연결 할 수 있습니다. 기본 username은 vagrant 입니다. 그리고 ssh client에서 .vagrant/machines/default/virtualbox 내의 private_key를 이용해야합니다. 그리고 Vagrantfile에서 아래와 같은 내부 아이피 주소를 찾아 ssh client 연결하면 됩니다.
// example in Vagrantfile
config.vm.network "private_network", ip: "192.168.33.10"
cd hgryoo_cubrid
// centos7이라면 scl enable devtoolset-8 bash 입력
./build.sh -m debug -z shell
사용 방법은 Linux 환경과 마찬가지로 간단합니다. Vagrantfile이 있는 해당 환경의 폴더에서 다음의 커맨드를 입력합니다.
cd windows
vagrant up
모든 설치과정이 완료된 후 다음을 입력하면 원격데스크톱으로 접속이 가능합니다.
//id, password 모두 vagrant
vagrant rdp
RDP Client가 내장되어 있지 않다면, 별도의 RDP Client를 설치해야 합니다. e.g.) Mac, Linux
빌드를 수행하기 전에 CUBRID 소스 폴더 내의 VERSION을 수정해야 합니다.
CUBRID 소스 폴더 내에서
git rev-list --count HEAD
을 입력한 후 출력되는 결과를 VERSION 파일의 끝에 적어줍니다.
cd cubrid
git rev-list --count HEAD
====
8356
//VERSION 파일 예시
10.2.0.8356
CUBRID 소스 폴더에서 powershell을 실행하여 다음의 빌드 커맨드를 입력하면 빌드 과정이 시작됩니다.
win/build.bat /out ${OUTPUT_DIR} dist
- chocolatey: Windows용 Package Manager
- Oralce JDK8
- Visual Studio 2017 (including dependent modules to install CUBRID)
chocolatey에서 설치되는 항목들
- jdk8
- cmake
- winflexbison
- wixtoolset (msi 설치)
-
문제: Windows 환경에서 설치 스크립트의 출력이 너무 많아 필요한 모든 항목을 설치하지 않고 생략되는 현상
-
해결방법: vagrant rdp로 직접 접속하여
C:\vagrant폴더 내의 설치 스크립트를 다시 구동합니다. (administration 권한으로 powershell을 열어 setup_windows.ps1, install_software.ps1 순서로 구동) -
문제: Windows 환경에서 재부팅 되는 현상
-
해결방법: TBD